이전에 분석한 파동으로는 관점 1과 관점 2의 가능성을 두고 분석을 보고 있었습니다.
관점 1이라면 현재 진행 중이 파동이 공통상승구간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현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해가 안 되시면 이전에 분석한 글들을 찾아보시면 이해가 가능합니다.
관점 2번의 경우는 이전에 분석한 글과 함께 가능성만 말씀드린 부분이 되겠고
아래링크를 보시면 좀 더 상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2023.2.25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기적인 간단한 분석과 함께 단기적분석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올수 있는 구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기관점으로는 왼쪽의 차트그림의 방향성과 오른쪽의 차트의 방
junggunbabo.tistory.com
관점 3과 관점 4는 새로운 관점이 되겠습니다.
관점 3의 형태로 만약에 상승하여 abc형태로 큰 하락이 나오게 된다면 지금까지 올라온 파동이 임펄스 파동이 아닌 ABC파동으로 올라왔다는 카운팅이 될 수 있습니다.
관점 2번과 비교하게 되면 한파동이 부족한 걸 볼 수 있겠죠.
관점 2번의 경우는 이전에 공유한 바닥에서 올라온 파동이 12345 파동으로 올라오고 5 파동에서의 엔딩파동이 나올 경우를 예상한 것이고,
관점 3번의 경우로 올라와 abc로 큰 하락이 나오게 된다면 지금까지 올라온 파동이 ABC로 올라왔다고 판단이 될 수 있습니다.
관점 2번과 3번은 가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드린 부분입니다.
그리고 저런 형태로 상승할 때는 임펄스가 아닌 abc로 상승한다는 걸 알아두셔야 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지금부터 관점 4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드릴 건데요.
그림으로 우선 한번 보겠습니다.
그림 2번은 가장 고점에서부터 내려온 파동의 카운팅이고 마지막 파동으로는 확장형 엔딩다이아고날의 형태로 마무리된 걸로 보고 있습니다.
쇄기형과 확장형이 마지막 파동에서 나올 때는 한 파동이 끝났다는 신호가 됩니다.
이전에 분석한 예상대로 상승파동이 나오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한 파동만 내려오면 상승이 시작되지 않을까 하며 분석을 하였지만 저점을 조금 더 갱신하면서 확장형 엔딩으로 마무리된 걸 볼 수 있습니다.
한파동의 끝났다는 강력한 신호이므로 트레이더라고 하면 저 신호의 끝에서는 무조건 저점을 손절라인으로 잡고 롱으로 진입해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이전에 분석한 내용은 위에 공유드린 링크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그럼 다시 분석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3번은 확장형 엔딩다이고날이 끝난 시점부터 지금까지 상승하는 부분이 임펄스 모양을 그리며 상승하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임펄스가 확실하다고 가정하게 되면 그림 1번의 관점 4번의 형태로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임펄스 파동이 나오게 된다고 가정하면 앞전에 공유한 관점 1번의 형태에서 임펄스파동의 한 파동을 놓쳤을 가능성이 발생하게 된다는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림 3번의 네모박스 구간을 확대해서 보게 된다면 아직까지는 임펄스의 가능성이 크다고 이야기드릴 수 있는 부분입니다.
확장형 엔딩 또는 리딩 같은 패턴은 잘 등장하지 않는 패턴인데.
해석하는 데 있어서 계속 모양과 패턴 그리고 거래량등에서 가능성이 클 수 있다는 시그널이 발생하고 있어서 이렇게 해석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임펄스 형태로 계속 상승하게 된다고 가정하면 관점 4번의 가능성 또한 열어두어야 한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이전에 공유한 대로 처음 하단에서의 롱진입을 하였고 롱진입 후 다시 하락을 대비하기 위해 상단에서 50프로 익절
그 후 파동을 지켜보다가 다시 한번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추세선을 확인해 보니 확장형 엔딩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나타남으로 인해 다시 한번 하단에서 나머지 50프로의 시드로 다시 롱 진입을 하였습니다.
상단 추세의 저항을 받을 걸로 예상 다시 저점을 갱신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50프로 익절 이후 나머지 시드를 30프로 더 익절 한 후 진입한 시드의 나머지를 홀딩 중입니다.
계속해서 진입시드를 나눠서 익절 한 이유는 내가 분석한 형태로 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부분익절을 하고 있습니다.
분석이라는 게 100프로의 가능성이 아니기 때문에 혹시라도 틀린 분석이라면 부분익절을 안 하게 되면 손해 또는 본절만 하고 나오는 경우 게 생기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물론 지금까지 부분익절을 하지 않고 계속 유지하였다면 더 큰 수익이 있겠지만 분석이 틀리게 되면 손절로 나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분석에 대한 믿음을 가지되 틀리게 될 가능성 또한 항상 열어두어야 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오늘의 분석은 여기까지 입니다.
분석글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들은 조금만 더 공부하시면 이해가 가능할거라고 생각됩니다.
분석글 외에도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 및 매매기법의 카테고리로 가시면 많은 도움이 되니 꼭 한번씩 잃어보시고 이해가 안된다면 메일이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가능한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즐거운 한 주의 시작이 되길 바라고 다음 글에서 뵙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좋아요♡ 와 구독은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 큰 힘이 됩니다.
본 블로그에 대한 문의는 wonkyo04@naver.com으로 문의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트코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2023.3.3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3.03 |
---|---|
비트코인 2023.3.1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3.01 |
비트코인 2023.2.25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2.25 |
비트코인 2023.2.23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2.23 |
비트코인 2023.2.22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