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엘리어트파동이론6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6편(복합조정<wxy,wxyz) 복합조정의 규칙 1. 복합 조정은 3개 또는 5개 조정들의 패턴으로 구성되고, 방향을 번갈아가며 복잡한 형태의 횡보 조정이 나타난다. 2. wxy(더블쓰리) 방향이 교대되는 3개의 조정패턴 3. wxyxz(트리플쓰리) 방향이 교대되는 5개의 조정패턴 4. 지그재그와 삼각수렴은 w, y파 중 최대 한 번씩만 나올 수 있다. 5. 삼각수렴은 y파에서만 형성된다. 6. x파는 모든 조정 패턴이 가능하다. wxyxz 같은 복잡한 형태의 파동도 나타난다. 특징으로는 wxy와 동일한 방식으로 흘러가나 지그재그와 삼각수렴은 w,y,z파중 최대 한 번씩만 나올 수 있고 마지막 파동에서 삼각수렴이 나온다면 이전 파동에서는 삼각수렴파동이 나올 수 없다. wxy파동과 마찬가지로 x파에서는 모든 파동의 형태들이 나올 수 있다.. 2023. 2. 2.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5편(삼각수렴<트라이앵글>) 삼각수렴이 나타나는 규칙(위치) 임펄스 파동의 4파 지그재그 abc의 b파 플렛 abc의 b파 wxy의 y파(다른기초편에서 설명) wxyz의 z파(다른기초편에서 설명) 그림 1의 이미지를 본다면 여러 가지의 abc에서의 b파동 안에서 나타나는 삼각수렴 임펄스 파동의 4파에서의 삼각 수렴을 확인할 수 있다. 임펄스파동의 2파에서 삼각수렴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글쓴이의 관점에서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책에서의 임펄스 2파에서의 삼각수렴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결론지은적은 없지만 삼각수렴의 규칙에서는 글의 젤 위의 내용으로 보아 언급은 없지만 불 가능 하다고는 이야기하지 않는 점! 확실 한건 알 수 가 없다고 판단된다(개인적인 생각) 그림 이번을 보면 많은 설명이 첨가되어 있다. 임.. 2023. 1. 31.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4편(ABC파동<중급포함>) 그림1을 보면 플랫형태의 ABC 그리고 지그재그형태의 ABC가 있다. 이전 기초편들을 보았다면 글쓴이는 불규칙 파동은 왠만해서는 파동카운팅에 넣지 않는다. (넣지 않는 이유는 이전 기초편을 참고) 위의 그림들은 엘리어트파동이론의 책들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기초설명에 나와있으니 책을 참고하도록 하자 본인의 글실력으로는 전부 설명하기는 힘들다. 지금은 위의 형태들의 ABC파동이 있다고 참고하면 되겠다. 그림2의 부분은 ABC파동 안에서 5-3-5 형태의 ABC파동 또다른 3-3-5형태의 ABC파동이 있다. 책의 내용으로는 이런 ABC가 주를 이룬다고 설명이 되어있다. 하지만 실전에서 저런형태의 ABC파동도 등장하지만 카운팅 하는것이 굉장히 까다롭다. 어떤기준을 찾아서 3-3-5인지 5-3-5인지 기준을 잡기.. 2023. 1. 29.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3편(다이아고날<쇄기형패턴>) 다이아고날의 특징 리딩다이아고날은 임펄스파동의 1파 그리고 ABC파동의 A파동에서 나타난다. 엔딩다이아고날은 임펄스파동의 마지막5파동과 ABC파동의 C파동에서 나타난다. 지속적인 거래량의 하락 지속적인 하락다이버전스 추세의 방향에따라서 상승쇄기형 하락쇄기형으로 나눌수 있다. 추세가 하락하는 방향이라면 하락쇄기형 추세가 상승하는 방향이라면 상승쇄기형 그림1은 실제 차트에서 나온 엔딩다이아고날의 형태를 설명하고있다. 특징으로는 지속적인 거래량의 하락과 하락다이버전스가 발생하는 형태 고점은 상승하고있는 모습을 보이고있는데 RSI는 하락 하고있는 상태의 특징 거래량과 다이버전스 그리고 패턴이 전부 일치하게 된다면 엔딩다이아고날이후 큰 하락을 예상 할 수 있음 거래량,RSI,패턴 모두 보조적으로 보는 패턴이기 때.. 2023. 1. 28.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2편(임펄스파동) 임펄스 파동은 총 5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임펄스 파동 중 1파와 5파는 임펄스형태로 나오거나 다이아고날형태로 나올 수 있다 (1파의 다이아고날로 나올 경우 리딩다이아고날이라고 부르며 5파에서 나오는 다이아고날형태를 엔딩다이아고날이라고 부른다 ) 3파는 항상 임펄스형태가 되어야 한다 2파는 조정 패턴이고 1파의 저점을 통과할 수 없다(기초 1편 참조) 2파의 조정패턴은 4파의 조정패턴보다 보통 더 큰 조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2파는 단순한 조정패턴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 2파는 삼각수렴 형태를 제외하고는 모든 조정패턴이 올 수 있다. (하지만 삼각수렴형태로 끝나는 복합조정 wxy 또는 wxyz에서는 수렴형태가 나올 수 있음) wxy와 wxyz 같은 복합조정은 다른 편에서 설명하겠다. 4파의 저점은.. 2023. 1. 27.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1편(기본규칙<절대규칙>) 엘리어트 파동의 이론에는 기본적인 세 가지의 규칙이 있다 파동 분석은 이론적인 기본원칙에 어긋나서는 안되며, 규칙에 어긋나는 파동카운팅은 잘못된 카운팅이다. 1. 1,2,3,4,5파동의 2 파동은 1파의 100% 이상 되돌리지 않는다. (1파의 최저점을 2파의 조정파동이 넘어설수없다) 2. 1,2,3,4,5 파동 중 3파는 1,3,5 파동중 가장 짧을 수 없다. 3. 1,2,3,4,5파동중 4파의 저점이 1파의 고점과 겹치지 않는다. (다이아고날 트라이앵글 은 예외로 둔다) 위의 형태가 엘리어트 파동이론의 기본규칙입니다. 이 기본규칙이 어긋나게 카운팅을 한다면 틀린 카운팅이 되므로 카운팅할시에는 유의하여야합니다. 기본 규칙이 지켜지지않는 카운팅은 이후에 나오는 카운팅이 모두 틀려질수 있으니 특별히 신경써.. 2023.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