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엘리어트파동이론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4편(ABC파동<중급포함>)

by JUNG군 2023. 1. 29.
반응형

그림1

그림1을 보면 플랫형태의 ABC 그리고 지그재그형태의 ABC가 있다.

이전 기초편들을 보았다면 글쓴이는 불규칙 파동은 왠만해서는 파동카운팅에 넣지 않는다.

(넣지 않는 이유는 이전 기초편을 참고)

위의 그림들은 엘리어트파동이론의 책들을 보면 자주 등장하는 기초설명에 나와있으니

책을 참고하도록 하자 본인의 글실력으로는 전부 설명하기는 힘들다.

지금은 위의 형태들의 ABC파동이 있다고 참고하면 되겠다.

 

그림2

그림2의 부분은 ABC파동 안에서 5-3-5 형태의 ABC파동

또다른 3-3-5형태의 ABC파동이 있다.

책의 내용으로는 이런 ABC가 주를 이룬다고 설명이 되어있다.

하지만 실전에서 저런형태의 ABC파동도 등장하지만 카운팅 하는것이 굉장히 까다롭다.

어떤기준을 찾아서 3-3-5인지 5-3-5인지 기준을 잡기가 쉽지 않다는 말이다.

 

매매기법의 엘리엇파동의 ABC와 임펄스 파동의 구별법을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능하다.

https://junggunbabo.tistory.com/entry/%EC%97%98%EB%A6%AC%EC%97%87-%ED%8C%8C%EB%8F%99%EC%9D%98-ABC%EC%99%80-%EC%9E%84%ED%8E%84%EC%8A%A4-%ED%8C%8C%EB%8F%99%EC%9D%98-%EA%B5%AC%EB%B3%84%EB%B2%95

 

엘리엇 파동의 ABC와 임펄스 파동의 구별법

(그림 1의 최상단 설명) 가장 큰 파동 (노란색) 조정의 가격적인 부분과 시간적인 부분을 확인해 보면 메이저 파동은 노랑색 파동이고 마이너 파동은 초록색 파동이라는 걸 확인할 수가 있죠. 결

junggunbabo.tistory.com

위의 링크를 따라가서 참고하면 좀더 이해가 가능하다.

 

 

그림3

그림3을 보면 하나의 메이저파동인(노란색)ABC파동이 있다.

그럼 A파동을 확인해보면 크게 그려보면 3개의 파동을 확인할수있고

B파동또한 가장큰 조정파동을 기준으로 3개의 파동이 확인된다.

그리고 C파동도 똑같이 가장큰 조정파동을 기준으로하고 카운팅을 해본다면

3가의 파동으로 나누어져있다.

 

그럼 위는 WXY가 아니냐? 3-3-3이면!

물론 그렇게 해석할수도있다. 하지만 메이저파동 안에 마이너파동 그 마이너파동안에 더작은 파동 또 그 파동안에 더작은 파동 모두를 해석하기에는 너무 힘이들지않나?(물론 분봉을 계속 줄여가면서 카운팅을 할 수도있다)

하지만 그런 분봉들을 계속 쪼개고 쪼개고 보면 3-3-5안에 3-3-3 그안에 5-3-5 또 그안에 3-3-3

해석하다보면 3-4-6 6-4-1 3-7-3 (가장큰 파동을 기준으로 지속적으로 해석하다보면 이런 말도 안되는 카운팅까지 나올수도있다....... 힘들다!

 

그럼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3-3-3이든 5-3-5이든 3-3-5이든 너무 신경쓰지말고 가장 큰 파동에 집중하고 마이너파동안에서의 가장큰 파동을 집중해서보면 ABC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볼수가있다.(사람들마다 파동카운팅의 해석이 여러가지로 나뉘어지기도 합니다. 제 경험에 의한 ABC의 구별법을 이야기 합니다.)

 

실제 차트를 기준으로 참고를 해보자

그림4

그림4의 차트는 비트코인차트중 일부인 ABC라고 확정 지을수 있는 파동의 일부이다.

붉은색이 가장큰 파동인 메이저 파동이고

그 이후 하나하나 마이너 서브마이너 미뉴엣 순으로 나누어 놓았다.

메이저 파동인 AB의 파동까지 나온걸 확인한후

(처음부터 파동이 어떻게 나올지는 알수 없다. 파동이 완성된후 그다음을 예상하거나 파동이 한파동이 끝났다고 판단될때 B의 시작이 지금부터가 아닐까 예상해볼수있다. 그 예상부분이라는건 보조지표와 여러가지 파동의 움직임을 확인한후 예상하는것)

나머지 C파동이 지금부터 상승하지 않을까 예상하는것이다.

예를 들면 B의 파동이 끝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면 A의 시작점이 깨지게 되면 B파동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을것이다.

매매를 하게 된다면 A의 저점을 손절라인으로 잡고 B와 A의 거리상으로 얼마나 큰 손절라인이 될까를 판단후

손익비 면에서 틀리다면 A의저점을 손절 라인으로 잡고 C의 파동을 수익권으로 본다면 엄청난 손익비라는걸 그림을 보면 알수 있을것이다.

 

그럼 B의 저점은 어떻게 확인할까?

확신을 할 수없다!

하지만 예상은 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B파가 진행중이라고 가정할때 마이너파동(노란색) 마이너 파동의 B파 상승 파동이 나왔고

이후 하락 하여 중간쯤부터 이제 곧 마이너 C파가 끝날것이라고 예상 하였다면 보조지표들 RSI또는 패턴 다이버전스 등등을 확인하고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면 지금쯤 메이저B파가 마무리되었다고 예상하여 롱 진입을 하였다!

그런데 메이저 B파의 서브마이너C의 하락이 오면서 내가 틀렷을까?를 예상한다면

내가 틀렸다면 나의 손절라인인 메이저A의 저점이 통과되지 않는한 자신이 가진 관점을 가지고 매매를 해야한다.

 

위의 그림에서는 A의 저점을 손절라인으로 잡고 매매를 하였다면 분명히 큰 수익이 되었을것이다.

하지만 B의 저점이라고 생각한파동이 다시 내려가는걸 본후 손절하였다면 수익을 못보고 그냥 손절로 마무리를 하거나

아 다시 올라간다며 다시 롱을 진입하였다면 수익생겻을것이다. 하지만 움직인다고 다시 진입하는건 내가 생각한 파동의 관점에 확신이 없기때문에 진입한것은 이후 다른 파동에서도 이런색의 매매가 이어지면 분명히 손실이 날것이라고 장담한다.

 

내가 가진관점에 완전한 확신을 가지고 틀려도 계속 매매를 한다면 분명히 손실이 날것이다.

하지만 관점을 믿고 진행해야 하는 부분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렇게 때문에 생각한 관점의 확실히 틀렸다고 증명할수 있는 손절라인이 필요한것이다.

 

그림을 다시 보면 메이저파동안에서의 마이너 파동 서브마이너파동을 확인하기 위해서 가장 큰 조정 구간과

그 조정구간 다음에 나온느 조정구간을 계속 확인하고 앞선 파동의 조정구간 보다 이후에 더큰 조정 구간이 나온다면 그 조정구간의 크기와 기간을 확인하여 현제의 파동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예상이 가능하다.

 

정리를 해보자면

 

1. ABC파동을 예상한다면 최소한 AB의 파동까지는 지켜보는게 필요하다.

(B파동의 끝의 예상지점은 여러보조지표 등등을 이용하자)

 

2. 손절라인을 명확히 하자!

 

3. 조정 구간들의 크기를 확인하자!

 

4. 자신의 관점에 자신을 가지고 매매를 하자, 하지만 틀렷을시에는 과감히 손절을 해야한다.

 

충분히 설명히 되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부족한 설명은 위의 링크를 보시면 조금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하고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삼각수렴에 대하여 이야기해보도록 할께요.

 

오늘 하루 즐거운 일 많으시길 바라며 글을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빠빠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