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엘리어트파동이론

엘리어트파동이론의 기초5편(삼각수렴<트라이앵글>)

by JUNG군 2023. 1. 31.
반응형

삼각수렴이 나타나는 규칙(위치)

임펄스 파동의 4파

지그재그 abc의 b파 플렛 abc의 b파

wxy의 y파(다른기초편에서 설명)

wxyz의 z파(다른기초편에서 설명)

그림1

그림 1의 이미지를 본다면 여러 가지의 abc에서의 b파동 안에서 나타나는 삼각수렴 임펄스 파동의 4파에서의 삼각 수렴을 확인할 수 있다.

 

임펄스파동의 2파에서 삼각수렴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글쓴이의 관점에서는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책에서의 임펄스 2파에서의 삼각수렴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결론지은적은 없지만

삼각수렴의 규칙에서는 글의 젤 위의 내용으로 보아 언급은 없지만 불 가능 하다고는 이야기하지 않는 점! 

확실 한건 알 수 가 없다고 판단된다(개인적인 생각)

 

그림2

그림 이번을 보면 많은 설명이 첨가되어 있다.

임펄스가 연결 안 된 점!

임펄스가 완성된 이후 ABC이후의 상황을 볼 수 있는 차트이다.

 

임펄스 파동 12345 그리고 ABC파동 이후에는 어떻게 움질 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위의 그림 2번으로 보아서 하나의 임펄스 파동과 ABC파동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임펄스 파동 이후에는 무조건적으로 ABC의 조정파동이 발생한다.

그림 2의 이미지를 본다면 임펄스 파동 이후  ABC파동이 피보나치 0.5까지의 조정을 받은 걸 알 수 있다.

이후 짧은 조정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삼각수렴의 기초를 보다 계속 내용이 산으로 가는 거 같습니다.

결론으로 글쓴이의 생각은 12345 파동 중 2파에서 삼각수렴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그림 2번의 차트로 본다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지.. 확실하다! 는 아닙니다.

글쓴이의 관점에 따라 임펄스파동 중 2파에서 삼각 수렴으로 가능 하다는 관점이 있으므로

12345의 임펄스 파동중 2파에서도 가능하다라고 판단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의 내용으로 가능하는다는 말도 없고 나온다는 말 도 없음!

그래서 생각된 것은 2파의 삼각수렴 또한 가능성은 있으나, 발생 빈도는 극히 낮다!

라고 판단 하고 있습니다.

다른 불규칙 파동과 일치하는 부분입니다.

 

위의 내용은 삼각수렴의 규칙과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책에 없는 내용 있는 내용을 말해보았고

지금 글쓴이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삼각수렴의 특징은 수렴이 진행될 때는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중간에 거래량이 삼각수렴의 입구보다 크게 나온다면 삼각수렴으로의 가능성을 낮게 보아야 한다.

 

그리고 삼각수렴이 진행 중이라고 판단될 때.

그 방향성은 5:5이다.

 

그림3

 

확률이 5:5라고 생각해야 하는 이유는

그림 3의 왼쪽을 보면 전형적인 임펄스 파동의 모양이다.

12345 파동 중 4파에서의 삼각수렴 이후 상승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오른쪽의 모습을 보면 붉은색의 임펄스 파동이라고 예상하였지만

큰 조정 이후 삼각수렴 후 하락 하여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예상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는 노란색의 ABC상승 이후 하락하는 ABC하락에서의 B파동에서 삼각 수렴이 나타난 예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의 왼쪽과 오른쪽의 차이점을 이해가 잘 안 될 수 도 있다.

왼쪽은 임펄스파동 형태에서 임펄스로 완료된 모습을 볼 수 있고

오른쪽의 파동은 임펄스 형태로 올라갔지만 3파의 끝에서 하락하고 ABC형태로 내려온 걸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림 3의 예제를 본다면 쉽게 생각될 수도 있지만

실제 차트에서는 삼각수렴이 이쁘게 수렴형태를 보이는 것도 아니며

수렴 후의 방향은 정말 알 수가 없다

5:5의 확률로 내려갈 수도 있고 올라갈 수도 있다.

 

책의 내용에서는 B파동과 같은 방향으로 간다 그러니 카운팅을 잘해야 한다라고 설명이 되어 있다.

 

하지만 내려오는 파동이 ABC의 A파동이 끝나고 B에서의 삼각 수렴이 나타날지

12345의 파동에서 4 파의 시작점부터 삼각 수렴의 시작일지는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그래서 확률을 5:5 로생각하고 매매를 한다면 실제 차트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그림4

그림 4는 기초 편이라기에는 너무 어렵게 생각될 수도 있다.

그림 4의 한 화면에 삼각수렴이 총 4개의 수렴이 보인다.

위의 그림은 30분 봉으로 본 차트이다.

15분 봉 5분봉 3분 봉 1분 봉까지 쪼개 보다 보면 수십 개의 삼각수렴이 있을 것이다.

수렴이 진행 중일 때 추세선을 그어보고 그 추세선을 이탈하였을 때 하락하고 있다면 하락을

상승하고 있다면 추세선을 이탈하였을 때 매매를 하여야 한다. 

위의 그림 4의 현태로 볼 때는 수렴의 추세선을 이탈 후 제진입을 못하고 한 방향으로 향한 걸 확인할 수 있다.

한 방향의 큰 조정 이후 큰 상승 차트를 확인해 본다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삼각수렴도 다이아고날의 형태와 비슷하게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특히 주말장째 수렴의 형태가 자주 나타나고 강한 상승 후에도 수렴의 형태가 많이 발생한다.

 

차트를 보니 가장 처음 A의 시작 부분 B파동에서도 수렴이 보인다.

그림5

이렇듯 삼각 수렴패턴은 아주 많이 등장한다.

삼각수렴의 추세선을 그어보고 그 추세를 이탈 할시 추세의 방향대로 매매를 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그림 4번 5번을 확인해 보면 추세의 저항을 뚫고 큰 방향성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위의 많은 설명이 있었지만 결론을 이야기하자면 삼각수렴의 방향성은 수렴의 추세선을 이탈 시에 추세의 방향대로 갈 확률이 많다!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글의 내용이 산으로 갔다가 바다로 갔다가 난리가 아닙니다.

수렴형태의 매매는 아주 간단한 내용입니다.

좀 더 이해가 가능하게 설명하기 위해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았네요.

핵심내용은 굉장히 간다 하다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더 이상 쓸데없는 말이 많아지기 전에 여기에서 글 마무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복합조정 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복합조정을 엘리엇파동의론의 기초내용을 마무리하고 이후에는 매매기법으로 부족한 부분들을 보충하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