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관점과 단기 관점의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전 분석글에서도 장기관점에 대한 이야기를 몇 번 하였습니다만.
파동이 흘러감에 따라 조금씩 변할 수 있는 점 참고 하셨으면 좋겠네요.
큰 관점에서는 많이 변한 건 없지만 다른 가능성들도 보이네요.
장기관점 1의 그림형태는 이전에 분석한 큰 장기관점 부분에서 일치하는 부분입니다.
그림상의 1번이 아주 큰 틀에서 상승하는 모습이고 2번은 하위 그림 3번은 그 하위라고 보시면 될 듯합니다.
위 장기관점 1에서의 카운팅이 틀렸다고 판단되고 관점을 폐기해야 하는 카운팅이 나온다면 3번의 그림형태로 1파의 저점이 2파가 침범하는 형태로 나올 경우가 되겠네요.
장기관점 2는 장기관점 1의 카운팅이 1 파동 놓친 거라면!? 나올 수 있는 카운팅이 되겠네요.
장기관점 1의 가능성도 장기관점 2의 가능성도 지금 현제로서는 둘 다 가능성이 큰 상태입니다.
장기관점 2의 2번이 상당한 상승파동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1파의 완성 후 2파의 조정은 상당히 깊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장기관점 2의 형태로 파동이 완성된다면 아주 큰 하락이 나올 수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하지만 장기관점 1의 형태로 나온다면 적당한 조정 이후 상승할 가능성이 더욱 카지게되죠.
장기관점 1이나 장기관점 2나 바닥부터 올라온 파동이 임펄스 모양이 아니라면 이런 급격한 상승을 보지는 않을 텐데.
둘의 가능성전부 임펄스 형태로 계산되고 있고 조정이 올지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상당한 상승은 분명히 올 거라고 보입니다.
단기관점으로는 장기관점 2번과 연결된 파동입니다.
마지막 파동이 5파의 엔딩이라면 현시점에서는 지지선을 이탈하였고
하락 다이버전스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점을 본다면 상당히 신뢰가 있다고 보입니다.
조정구간이 얼마나 올진 지켜봐야 되겠죠.
하지만 하단 매물대인 0.5구간까지의 조정은 오지 않을까 보이네요.
단기관점 2는 장기관점 1번의 형태로 연결된 파동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왼쪽 형태는 현제 조정 중이 파동이 진행 중이다라고 볼 수 있겠고,
오른쪽의 형태는 5파의 엔딩다이아고날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본 형태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의 글은 여기서 마무리하고 다음에는 더욱 좋은 글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좋아요♡ 와 구독은 이 블로그를 유지하는 큰 힘이 됩니다.
본 블로그에 대한 문의는 wonkyo04@naver.com으로 문의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트코인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2023.5.18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1) | 2023.05.18 |
---|---|
비트코인 2023.5.5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2) | 2023.05.05 |
비트코인 2023.4.4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4.04 |
비트코인 2023.3.29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3.29 |
비트코인 2023.3.21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