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버전스란 차트의 흐름이 상승중이거나 하락중일때
RSI의 방향성이 반대로 나타날때의 현상을 다이버전스라고한다.
그림1의 예제를 보면 하락다이버전스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다.
다이버전스가 나온이후에는 큰 하락이 나온걸 확인 할 수가 있다.
강한 상승 파동이나 강한 하락 파동때는 다이버전스가 발생 하더라도 다이버전스가 깨지면서 상승또는 하락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다이버전스가 발생했을때는 추세의 전환이 나타날 확율이 매우높다.
다이버전스의 확율이 높은 구간은 거래량이 줄어들며 한 추세방향으로 향할때를 잘 확인하고
RSI상으로도 괘매수구간과 과매도 구간에서의 다이버전스가 발생했을때
추세전환이 될 확율이 올라간다.
과매도 구간과 과매수 구간이 아닌곳에서 발생하였을때는 추세전환의 확율이 내려간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림2번은 다이버전스발생이후 작은 추세전환과 큰 전환의 예를 들수있는 예제이다.
비트코인의 실제 차트이며 다이버전스는 많이 발생한다.
엘리어트파동이론의 카운팅과 RSI상 다이버전스를 같이 확인하면서 매매를 하게되면
매매의 승율이 확실히 올라갈것이다.
하지만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는데도 불구하고 그림3번의 예제처럼 짧은 조정이후 큰 상승이 나올수도있다.
한추세 방향으로의 강한파동에서는 이렇듯 다이버전스가 발생했음에도 크게 하락하지 못하고 상승하는 경우도 발생하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런경우에는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문제가 될것이고 또는 파동카운팅과 채널등등의 보조로 볼 수 있는것들을 확인해가며
매매를 하게 된다면 어느정도 커버가 가능할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응을 하게 된다면 고점을 갱신하여도 손실을 줄일수 있게 진입한 포지션의 50프로 정도를 익절이후 지켜보는 대응법이 될것이고,
파동카운팅을 올바로 하였다면 다시 상승의 가능성을 염두해두고 진입을 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다른 보조적인 지표를 이용하여 진입할수있는 근거를 만들어야한다.
여러가의 근거를 종합해보고 진입 위치로서 좋은 위치라고 생각이 되면 진입하고 근거가 부족하다면 다음 자리를 기다리는것도 매매방법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파동카운팅 했을때의 하락의 가능성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는지의 여부
채널관점으로 봤을때의 채널 이탈또는 저항의 가능성
거래량의 확인 등등이 있을것이다.
그외의 다른 보조지표들도 이용하여 진입할수 있는 근거를 찾게 된다면 더욱 확율이 올라갈것이라고 생각한다.
글쓴이는 잘 쓰지 않지만
이동평균선, 스톡캐스틱과 같은 보조 지표들도 아주 좋은 지표들이기때문에 보는 방법을 안다면 사용하면 더욱 매매의 승율의 가능성이 올라갈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이버전스의 설명이 충분했는지, 잘이해가 되었는지 잘모르겠네요.
본 블로그에대한 문의는 wonkyo04@naver.com으로 문의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매매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하락의 가능성과 상승 가능성에서의 매매방법 (0) | 2023.02.07 |
---|---|
상대강도지수(RSI)를 알아보자! (0) | 2023.02.05 |
파동과 파동간의 최소한의 조정크기 (0) | 2023.01.31 |
채널링을 자주 확인해보자 (0) | 2023.01.18 |
선물매매를 계속 해야할까? 경험과 마음가짐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