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기법

비트코인 하락의 가능성과 상승 가능성에서의 매매방법

by JUNG군 2023. 2. 7.
반응형

지금 올리는 비트코인 차트는 2023년 2월 7일 오후 6시 30분경의 차트이다.

비트코인 단기관점 (그림1)

그림 1의 차트를 보아서 상승의 가능성과 하락의 가능성을 모두 가진 상태이다.

그럼 매매를 어떻게 해야 할까?

하단 노란색의 선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태이고 계속 지지하여 상승한다면 하늘색 abc의 형태로 올라갈 가능성을 볼 수 있다.

 

하늘색 형태로 상승하게 된다면 그림의 관점대로 abc의 c의 끝에서 다시 한번 하락을 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므로

하락하는 관점에서의 포지션을 진입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하락하지 않고 더 크게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차트의 그림과 경험상으로는 상승의 가능성보다는 하락의 가능성이 크게 보이므로 진입을 한다는 것

하지만 상승한다면 대응법으로는 무엇이 필요할까?

대응법으로는 손절을 봐야 한다고 생각된다.

그럼 손절은 어디로 잡아야 할까?

 

차트그림상으로 가장 고점을 손절라인으로 잡아야 할 것이다.

하락할 가능성의 관점이 옳다면 그림 2번의 형태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참고:경험에 의한 관점이 있으므로 참고해 주길 바랍니다.)

 

그림2

그럼 그림 2번의 가능성처럼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면,

B의 끝에서 하락을 보고 진입

손절라인과 수익을 볼 수 있는 구간을 계산해 보면 손해 짧게 나오지만

수익은 더 크게 나오기 때문에 손익비 면에서도 진입하기가 좋은 자리라는 걸 알 수 있다.

(참고: 그림 2번의 손익비 면에서는 수익의 구간이 좀 짧은 구간이 될 수 도 있겠네요.)

 

엔딩형태의 최고점 근처에서 잡았다면 최고의 손익비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1번으로 다시 되돌아가서 분홍색 v자 표시는 숏포지션 진입구간이다.

포지션 진입구간은 이전에 공유한 관점에서의 포지션진입구간을 확인해 주길 바란다. (밑의 링크 참조)

 

 

비트코인 분석과 매매 (엘리어트파동이론)2023-2-7

2023년 2월 7일 분석 바로 이전의 공유한 형태로 상승할 가능성 (그림 1) 채널의 지지를 받는다면 위의 형태로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림 2) 번은 고점에서부터 내려온 파동이 임펄스파동의

junggunbabo.tistory.com

포지션 진입 후 숏 포지션을 계속 유지 중인 이유는 그림 1의 노란색 지지가 깨지고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1의 파란색 손절라인을 통과한다면 하락하고 있는 채널을 이탈하는 조건의 손절근거 그리고 하늘색 abc의 a의 고점을 넘어섰게 된다면 하늘색 형태로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두 번째 손절근거가 될 것이다.

 

다시 하락을 보고 있는데 굳이 손절할 필요가 있느냐라는 반문이 생길 수도 있다.

손절하지 않고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손절하는 것이다.

가능성은 모두 열어놓고 내가 틀렸을 때에는 최대한 작은 손절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나 레버리지를 높게 쓰면 더욱더 손절가를 지켜야 한다.

글쓴이는 레버리지를 5배 이상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최대한 레버리지를 높여도 7배 이 정도의 배율도 높은 편에 속한다.

손절 거리가 멀다면 레버리지도 최대한 줄여할 필요성도 있다.

틀렸을 때의 손실은 최대한 줄여야 다음 자리에서의 손실을 복구하는데 쉽게 복구할 수 있다.

50%의 손실을 보았다면 다음 내가 복구해야 할 수익은 100%가 돼야 할 것이다.

50%의 손실을 100% 수익으로 돌리는 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손실을 최대한 적게 만들고 손익비가 좋은 자리에서 진입하는 게 선물매매하는 사람이 무조건적으로 우선해야 할 규칙 중의 규칙이라고 볼 수 있다.

 

매매를 하는데에 관해서는 경험이 엄청나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차트의 흐름은 반복되기 때문에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과 비슷한 경험이 없는 사람의 차이가 수익의 차이로 나타 날 수도 있다.

 

시드를 최대한 적게 이용하여 엘리엇파동이론의 공부를 꾸준히 하여 경험을 만들고

그 경험을 차트에 대입한다면 좋은 결과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드를 10만 원을 투입하여 100만 원을 못 만들면 1000만 원 1억을 투입하여도 그 시드는 분명히 청산되거나 시장에 반납할 거라고 장담한다.

 

우선 적은 시드를 이용하여 10배 20배까지의 수익을 내어보고 경험을 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공부는 무조건 우선되어야한다.

 

 

글을 쓰다 보니 계속 글이 길어지네요.

최대한 알아보기 쉽게 설명하려고 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다음에는 더욱더 쉽게 알아보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해야겠네요.

 

다음에는 더욱 유익되는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